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

친환경 항공 시대의 단기 처방(上) - 터보 프롭/하이브리드 원문: Engine Manufacturers Explore Paths For Future Turboprop Applications | (Aviation Week Network) 프롤로그: 친환경 요구사항에 항공 업계도 예외는 없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도 친환경 항공에 대한 내용이 거의 항상 언급되는데, 항공기, 추진 방식, 운항 등 항공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온실가스를 내뿜는 현재의 항공기를 단기간에 획기적으로 상용화시키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단기적인 처방으로는 터보 프롭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지속가능한 항공유) 사용, 전기 추진으로 전환 등이 현재의 흐름입니다. 이번에는 보다 .. 2021. 10. 31.
엔진이 날개 위에 장착된 항공기 An-74 프롤로그: 우연히 한 기사(링크)를 통해 엔진이 날개 위에 달려있는 비행기를 보게 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구 소련)의 Antonov 사의 AN-74인데요, 캐나다와 공동으로 이 항공기를 현대화(Modernization)하고싶어 한다는 내용의 기사였습니다. 캐나다, 우크라이나의 추운 지방에서 이점이 있나 싶기도 하고, 엔진이 꼭 날개 아래에 있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 여러가지 생각할 거리를 주는 항공기입니다. 아무리 보수적인 항공 업계라도 생각의 틀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Antonov사의 항공기들은 독특한 설계가 많아서 제가 좋아하는 회사입니다. 첫 독자 컨텐츠로서 엔진이 날개 위에 장착되는 것의 이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항공기는 엔진이 날개 아래에 장착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1. 9. 12.
UAM: 누가 제일 잘하나 순위 매기기 프롤로그: UAM에 대한 소식이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고 있습니다. 1920년대 항공 산업 붐을 연상시키며 시험 성공 소식, 신규 컨셉 공개, 신규 업체의 등장, 주식 시장 상장 등 워낙 새로운 소식이 많아서인지 이 모든 걸 총 정리한 '기사'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대신에 항공 전문 컨설팅 펌 SMG Consulting에서 UAM을 여러가지 지표로 순위를 매긴 AAM* Reality Index와 관련 팟캐스트 및 기사를 소개 드립니다. 전문가들의 주관이 포함된 순위이지만 현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각 지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아래 Podcast는 당시 기준으로 녹음되었기 때문에 지금 상황과는 다를 수 있는데, 그만큼 몇 달 사이에 급변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021. 8. 29.
진정한 항공 덕후들의 축제: EAA Airventure 2021 기사 원문: Podcast: Report From Oshkosh 2021, The Year's Biggest Air Show By Any Measure (Aviation Week) *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 Stitcher, Spotify에서도 들어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 선정의 이유: 3대 에어쇼(파리, 영국 판보로, 싱가폴)가 신기술 공개, 비즈니스를 위한 행사라면 EAA Airventure는 돈보다는 항공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 중심이 되는 행사입니다. RC 비행기, 자작 비행기, 클래식 비행기, 여객기, 전투기, eVTOL 등 거의 모든 종류의 항공기가 모이기 때문에 세계 최대 에어쇼라고도 불립니다. 일명 '세계 최대 에어쇼'임에도 불구하고 돈 되는 행사가 아니다보니 관련 기사가 많지 않고.. 2021. 8. 8.
빌 게이츠: 친환경 항공유가 요구되는 시대 기사 원문: Clean jet fuel needs to be more like a microwave oven (Introducing a new way to invest in clean energy innovation) 기사 선정의 이유: 지구 온난화가 현실로 다가오는 요즘, 빌 게이츠가 개인 블로그에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친환경적인 항공유가 필요하다는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제 블로그의 엔진 관련 포스팅에는 모두 탄소 배출 저감에 대한 내용이 있었을 정도로 항공 업계에서도 경각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엔 '기사'는 아니지만 빌 게이츠는 말 한마디가 세계적으로 영향력있는 인물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꾸준히 강조하며 투자하고 책도 발간했던 인물이기 때문에 글을 가져와봤습니다. 사업적으로 정점을 찍었던 인.. 2021. 7. 25.
[CFM] Open Fan 첫 상용화에 도전 - 2035년까지 연료 효율 20% 개선 목표 기사 원문: CFM launches open rotor demonstrator, promising 20% better fuel burn for mid-2030s applications (FlightGlobal) 기사 선정의 이유: 여객기용 항공 엔진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CFM(GE와 SAFRAN의 합작 회사)에서 10여년 후를 내다보고 친환경을 목표로 한 Open Fan 엔진을 공개하였습니다. 이 Open Fan 엔진은 상용화된 적은 없지만 다년간 GE와 SAFRAN에서 시험해오던 엔진이라 더욱 기대가 됩니다. 인상깊었던 점은 GE와 SAFRAN 양사의 CEO가 유튜브 영상(링크)에 직접 등장하여 이 엔진 프로그램을 소개한 것이었습니다. 얼마나 전도유망한 엔진이길래 최대 점유율을 보.. 2021. 7. 18.
방향을 잃은 초음속 여객기 개발: Aerion의 붕괴 이후의 미래는? 원본 링크: Going nowhere fast: does supersonic air travel have a future after Aerion? (Flight Global) 기사 선정의 이유: 초음속 여객기는 인류의 오랜 열망이자 저 개인적으로도 꼭 도전해보고 싶은 분야였습니다. 하지만 콩코드 여객기는 이미 2003년에 운행이 중단된 지 오래였고, 제가 2014년에 대학원을 알아볼 때도 미국 주요 대학에서 초음속 여객기를 연구하는 연구실은 없었습니다. 수학과에서 이론적인 연구만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콩코드 퇴역 이후에도 초음속 여객기를 현실화하려는 시도는 종종 있었습니다. 가장 구체적인 비전이 있었던 곳은 Aerion의 AS2 프로그램이었는데, 안타깝게도 2021년 5월 21일에.. 2021. 6. 6.
APU를 기반으로 Hybrid 엔진을 개발하는 Honeywell 기사 원문: Propulsion Providers Hop On Accelerating Hybrid Power Train (Aviation Week Network) 무료 회원가입 후에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 선정의 이유: Honeywell은 GE, Pratt & Whitney, Rolls Royce 만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Turboshaft, APU(1) 등 조금 더 작은 사이즈의 엔진에서 강점을 보이고, 특히 APU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Honeywell에서 APU를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엔진을 만드려고 한다는 기사를 보니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장을 공략하려는 듯 하여 상당히 전략적인 움직임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잘 정리되어있는 기사는 아니다보니 Honey.. 2021. 5. 30.
Narrow body 비행기용 Turbofan 효율을 높이기 위한 core 사이즈 축소 연구 기사 원문: NASA seeks to shrink turbofan cores for efficiency as it targets next narrowbody jets (Flight Global) NASA는 Boeing 737(1)을 대체할 미래의 민항기 엔진 기술 개발을 목표로 터보 팬 코어에서 5-10% 더 많은 연료 효율을 끌어내는 연구(2)를 시작했습니다. (1) Boeing 737의 규모는? 더보기 Boeing 737은 50여년간 하늘을 날고 있는 대표적인 Narrow body 비행기입니다. 내부는 좌석 3/복도/좌석 3 (ㅁㅁㅁ| |ㅁㅁㅁ) 구조이며, 최신 기종은 138~204석 정도가 있습니다. 단거리/중거리 노선에 많이 쓰이는 기종으로, 국내 및 해외에서도 수요가 상당히 높은 사이즈라서 엔진.. 2021. 4. 20.